비만의 유병률은 계속 증가하고 있다. 그렇다면 비만이 우리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들은 무엇이 있을까. 또한 비만을 치료하기 위해 우리가 지켜야 할 것들은 무엇인지 알아보자.
비만은 누구나 걸릴 수 있다
비만은 지방이 정상적인 기준보다 더 많이 축적되어있는 상태를 말한다. 체내 지방량을 측정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집에서 측정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기 때문에 체 칠 량지수 기계를 이용하거나 허리둘레를 측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체질량지수는 몸무게를 키의 제곱으로 나눈 값이다. 예를 들어 신장이 170cm인 사람의 체중이 70kg 라면 체질량 지수는 24.2이다. 우리나라의 비만의 기준은 성인 기준 25kg 이상이다. 예를 들어 25 이상 29 이하를 1단계 비만, 30 이상 34 이하를 2단계 비만 그리고 35 이상을 3단계 비만 즉 고도 비만이라고 구분한다. 복부비만의 기준은 허리둘레에 따라 나뉜다. 예를 들어 남성을 기준으로 90cm, 여성은 85cm 이상일 때 복부비만으로 판단한다. 이때 허리 둘레는 양발 간격을 어깨너비만큼 벌리고 숨을 편안히 내쉰 상태에서 줄자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위치는 옆구리 갈비뼈 가장 아랫부분과 골반 가장 중간에서 측정한다. 비만은 누구나 걸릴 수 있다. 통계를 보면 체질량지수를 기준, 2005년부터 전체 30%로를 초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복부비만의 유병률 또한 체질량지수의 유병률과 비슷하다.
비만이 우리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비만은 신체적,정신적,심리적 등 모든 건강 부분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신체건강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8가지가 있다. 첫 번째로 암이다. 체중증가는 암의 주요 위험인자이다. 특히 간암, 대장암, 전립샘암, 간암, 직장암, 위암 등의 발생위험은 체질량지수가 높아질수록 증가하였다. 두 번째로는 당뇨병이다. 당뇨병은 체중이 증가할 대마다 20%씩 증가한다. 그렇기 때문에 당뇨병이 있는 환자는 체중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세 번째로는 이상지질혈증이다. 이것은 중성지방이 높아짐으로써 심혈관 발생의 위험 또한 증가한다. 네 번째로는 고혈압이다. 체중이 높을수록 고혈압이 발생활 확률이 점점 증가한다. 다섯 번째로는 심뇌혈관질환이다. 비만은 관상동맥질환의 발병률을 높이고, 정상체중의 사람보다 허혈성 뇌졸중의 위험도가 더 높게 발견되었다. 여섯 번째로는 천식이다. 체중이 높을수록 아동과 성인에게 두 배 이상의 천식 발생률을 높인다. 왜냐하면 비만이 호흡 패턴이나 호흡운동 등의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 일곱 번째로는 근골격게 질환이다. 비만은 관절염이나 골다공증 혹은 걸음걸이 등 물리적이 압력이 증가할 때 증상이 발생하며 악화된다. 마지막으로는 소화기계 질환이다. 체내 중성지방이 높을수록 간 내 염증을 발생시킨다. 혹은 위식도역류질환의 발병률을 높이기 때문에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체중을 줄이도록 해야 한다.
비만을 치료하기 위한 실천방법들
비만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네 가지의 방법이 있다. 첫 번째로는 식사요법이다. 비만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알맞은 식사조절은 필수적이다. 이 방법은 에너지 섭취를 제한하여 체내에너지 결핍을 유도하는 원리이다. 예를 들어 하루 섭취 열량을 500kcal로 줄이는 방법이다. 가장 안전하며 효과가 좋은 방법이다. 500kcal가 너무 적다면 800~1200kcal을 넘기지 않도록 해야 한다. 왜냐하면 갑작스러운 영양결핍은 전해질, 무기질 등의 불균형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두 번째로는 운동치료이다. 운동은 식사요법과 함께 진행될 때 더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유산소운동인 걷기, 줄넘기, 달리기 등을 30분씩 2번 해주는 것을 추천한다. 또한 근력운동 또한 같이 병행하는 것이 좋다. 이때 다치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다. 세 번째로는 약물치료이다. 약물치료는 환자의 체질량지수가 매우 높거나 다른 합병증을 동반할 때 필요하다. 예를 들어 오르리스타트로 섭취하는 음식물의 지방질을 분해하거나, 로르카세린 , 날트렉손 부프로피온 등으로 식욕을 억제할 수 있다. 네 번째로는 수술치료이다. 수술치료는 고도비만일 때에 사용하는 방법으로 다른 질환과 동반치료를 할 때의 도움이 된다. 예를 들면 위절제술, 루와이 위우회술, 위밴드 수술이 있다. 세 가지 모두 흡수를 제한하거나 섭취를 제한하도록 하는 수술들이다. 비교적 안전한 수술이지만 마지막으로 권고되는 수단으로 식사요법과 운동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댓글